카테고리 없음

[보험과보상] 의료실비보험. 눈꺼풀처짐(안검하수ptosis)&실행증

테리A 2011. 9. 25. 20:10

 
눈꺼풀처짐 (ptosis) - 안검하수
 
 
[보험과건강]
 

 

  급성 부비동염 (acute sinusitis / acute rhinosinusitis)
[정의]
눈꺼풀처짐은 눈꺼풀이 충분히 떠지지 않아 눈이 원위치(정면을 바라볼 때)에 있을 때 눈의 중심 위치인 중심각막되비침(midcorneal reflection)과 윗눈꺼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2mm 이하이거나 두 눈의 이 거리의 차이가 2mm 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다.

대뇌, 눈돌림신경, 교감신경 등에서 발생한 병적인 변화가 눈꺼풀처짐의 신경학적 원인이 될 수 있다.

파킨슨병, 진행성핵상마비와 같은 대뇌의 병적인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실행증(apraxia; 행위불능

증, 행위장애라고도 하며 말초신경의 운동 및 감각 손상이나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숙련된 행동을 하지 못하는 증상)이 눈꺼풀처짐의 원인이 된다. 실행증이 나타나면 말초신경과 근육에는 이상이 없지만 대뇌로부터 적절한 명령이 내려오지 못하기 때문에 눈꺼풀처짐이 발생한다. 일부 뇌간(뇌줄기)에서 삼차신경과 눈돌림신경의 이상연접이 발생하면서 입을 벌리거나 턱을 한 쪽으로 움직일 때 눈꺼풀처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눈꺼풀 올림을 담당하는 근육(올림근널힘줄, levator aponeurosis)이나 힘줄 등이 파열되거나 얇아지면서 눈꺼풀처짐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관련 신체기관] 눈꺼풀, 삼차신경, 교감신경, 눈돌림신경, 올림근널힘줄

[치료]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눈꺼풀처짐의 치료 원칙이다. .


[관련질병]
실행증 (apraxia)
[실행증 (apraxia) 정의]
실행증은 기본적인 운동능력 및 감각능력에 장애가 없고 환자가 지시자의 말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의식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계획을 세우는 대뇌의 영역에 나타난 이상 증상으로 인하여 이미 학습되어 할 수 있는 운동이나 몸짓을 못하는 장애를 말한다. 특징적으로 실행증 환자는 지시에 따라서는 수행할 수 없는 행위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지시에 따라 입을 크게 벌릴 수 없는 환자도 하품을 하거나 재채기를 할 때는 크게 입을 벌리기도 한다. 실행증에는 말도 하고 운동 능력도 정상이지만 지시받은 행위나 운동은 하지 못하는 관념운동실행증, 얼굴근육을 의도하는 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얼굴실행증, 패턴화된 운동의 순서를 알지 못하는 관념실행증, 그리고 왼쪽 대뇌반구의 행위에 대한 정보가 오른쪽 대뇌반구로 전달되지 못하여 왼쪽 손에서만 실행증이 나타나는 뇌들보실행증(뇌량실행증) 등이 있다.

 

  [관련안내]   ■ BEST TOP보험 ■   [바로가기]  

 

참고출처 : 서울대학교병원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작성: [보험맵] http://bohummap.tistory.com

* 보험맵은 보험전문가에 의하여 모든보험의 정확한 정보만 엄선하여 제공합니다.